국제표준인증을 받은 좀개구리밥 수생태독성평가기법-물벼룩 방법과의 차이와 잇점

어릴 적 논이 있던 시골에서 사신 분이라면 논 위에 떠 있는 개구리밥을 많이 본 적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정식 명칭으론 ‘좀개구리밥’이라는 수생식물입니다. 길이가 5mm 이내의 식물로 주로 논이나 연못 그리고 물이 흐르는 세기가 강하지 않은 강둑 정도에 서식합니다. 이 좀개구리밥을 이용한 수질 진단법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기존에는 독일식의 물벼룩을 이용한 진단법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 방법보다 훨씬 간편하고 경제적이어서 주목 받고 있습니다.
Read more

노화와 염증을 부르는 지방세포- 비만이 위험한 이유

지방세포는 우리 몸에서 지방을 저장하고 에너지를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하지만 서구화된 식습관과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점점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방세포가 커지면서 어떤 위험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Read more

댕냥이 열사병 증상과 예방- 여름철 반려동물(개와 고양이) 열사병 주의보

여름철 기온이 치솟으면서, 반려동물들인 개와 고양이와 같이 털이 많은 반려동물은 열사병에 취약해집니다. 열사병의 징후를 인식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치명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국민 횟감 우럭, BPI 단백질로 항생제 내성균 잡아-슈퍼세균까지 잡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BPI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 어종인 우럭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병원 임상미생물학 및 위생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인 시그리드 뷰로우 박사팀이 최근 우럭의 몸속에서 항생제 내성균을 잡는 BPI 단백질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Read more

내 손에 슈퍼세균이?-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예방

세계의 의료계는 슈퍼세균과 싸우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와 더불어 세균은 인류의 건강을 오랫동안 위협해 왔습니다. 항생제의 발명에 따라 우리는 급속도로 많은 병에 대하여 보호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항생제가 세균을 죽이지 못해 결국 항생제 발명 이전으로 돌아가는 암흑기를 맞이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번 글에서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알아봅시다.
Read more

숙면의 조건: 과도한 나트륨 섭취가 좋은 수면을 방해하는 5가지 이유

우리나라는 발효음식의 발달로 비교적 높은 나트륨을 섭취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기준 일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400mg~3,800mg 정도이며 세계보건기구 권장섭취량 2,000mg을 상당량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짜게 먹는 습관이 많은 카페인 섭취처럼 숙면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Read more

접시 속 뇌가 chatGPT를 넘어서나(뇌 오가노이드의 발전)

우리는 본격적인 인공지능 시대에 출발선에 서있습니다. 최근 chatGPT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질 정도로 보편화 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인공지능이 아케이드 게임을 배우는데 90분이 소요되는데 반해 5분만에 학습한 새로운 인공지능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바로 접시 속의 뇌입니다. 뇌 오가노이드라고 하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연구진에 의해 접시 속에서 배양 된 뇌세포에 전기적 자극을 줘 학습을 이뤄냈습니다. 연구진들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게임 실력은 더 좋았지만 학습 속도는 더 늦었다고 합니다. 앞으로 더욱 인공지능은 사람의 생각과 가까워 질것 같습니다. 이런 뇌 오가노이드가 어떤 것인지 한번 알아봅시다.
Read more

손 선풍기 전자파가 백혈병유발?-일상에서의 전자파 차폐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전자 장치는 우리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라우터와 전자레인지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전자파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파동은 일반적으로 소량으로 안전한 것으로 생각 되지만, 고강도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되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합니다.
Read more

길고양이 만졌을 뿐인데 살인진드기 SFTS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감염?

최근에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신종 전염병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40대 여성 A씨가 별다른 활동 없이 SFTS 양성판정을 받았습니다. 추적 결과 의심되는 일은 판정 나흘 전 길고양이와 접촉한 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아직 길고양이로 인해 감염되었다는 뚜렷한 근거는 없지만 조금 조심할 필요는 있어보입니다. SFTS는 심각한 질병과 사망률에 대한 잠재력으로, 이 증후군의 핵심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 SFTS의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포함하여 알아보겠습니다.
Read more

10조원 파킨슨병 치료제시장? 치매와의 차이점은?

신경학적 장애는 개인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동성, 인지 기능 및 전반적인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 중 파킨슨병(PD)과 알츠하이머병(AD)은 개인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과 유병률로 인해 종종 대중의 관심을 끄는 두 가지 주요 질환입니다. PD와 AD는 모두 신경퇴행성 질환에 속하지만, 발병, 진행 및 일차 증상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글에서 우리는 파킨슨병을 탐구하고 그것이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뇌 관련 질환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봅시다.
Read more